아이가 친구와 놀다 문제가 생겼을 때

2015. 12. 12. 09:39육아/건강/육아노하우

반응형

아이가 친구와 놀다 문제가 생겼을 때


*아이가 울면서 들어올 때 화를 내거나 혼내서는 안됩니다.


부모님들은 아이가 밖에서 놀다가 울면서 들어오면 아이를 혼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불쌍하고 울린 상대방이 밉기 때문에 아이에게 화를 내게 되는 것이지만, 이것은 좋은 반응이 아닙니다.

아이들은 아직 자기 중심적이기 때문에 서로 충돌하게 되는 것으로

아이들의 싸움은 어느 쪽이 잘못했는지 판단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들은 아주 작은 다툼에도 울곤 하지만 다 울고나면 또 금방 풀어져서 함께 놀곤합니다.

아이들은 처음부터 나쁜 목적을 가지고 친구와 싸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가 친구와 싸우고 왔을 때는 아이를 잘 타일러 친구와 화해하게 하는 너그러움을 갖춰야 합니다.

또한 아이들을 화해시키러 간 곳에서 아이들 싸움이 어른들 싸움으로 번지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친구를 괴롭히거나 심술맞게 구는 아이


가정에서 너무 엄격하게 자란 아이는 세네 살이 되면 부모에게 반항할 수 없는 것을

약하고 어린 친구에게 퍼붓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엄마 아빠가 아이를 따뜻하게 대해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아이가 활동적이라면 집 안에만 있게 하기보다는 아이의 에너지를 바람직하게 발산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심술궂게 노는 것을 발견했을 때는 잘 관찰해 본 후 다시는 그런 행동을 하지 않도록 적절한 주의를 주어야 합니다.

단, 나중에 이야기를 꺼내서 타이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친구를 깔보는 아이는 다른 사람의 장점을 볼 수 있도록 가르쳐야 합니다.





친구의 실수를 보고 놀리거나 친구의 약점을 지적하면서 자기는 그렇지 않다고 자만하는 아이가 있습니다.

이것은 자기의 능력을 과시하고 싶은 심리에서 나오는 행동이며,

경쟁심이 강한 아이에게서도 볼 수 있는 행동입니다.

남을 깔보는 아이들 중에는 능력이 높은 아이가 많은 편이라서,

부모들은 아이의 그런 행동을 별로 문제삼지 않고 오히려 자랑스러워 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아이는 친구를 도와주거나 친구의 실수를 덮어주는 일이 거의 없어서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당하기도 합니다.

부모님들은 아이에게 경쟁심이나 우월감을 지나치게 부추기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의 우수성을 인정해 주되, 다른 사람들의 장점을 볼 수 있는 눈을 가지도록 지도해 주십시오.

*아이가 친구와 어울리지 못하는 경우


친구들과 함께 있지만 그저 멍하게 앉아있거나 자기만의 독특한 놀이를 하면서 고립되어 있는 아이는

대개 가정에서 어른들과 많이 놀아서 친구들과 노는 방법을 모르기 때문에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떈 먼저 집 근처에 살고 있는 아이들과 놀도록 부모님이 적극적으로 도와주어야 합니다.

부모님 임의로 친구들이나 놀이를 제한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친구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고 친구에게 가고 싶다는 기분을 아이에게 불러일으켜 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