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에 대하여 알아둡시다.

2015. 11. 24. 08:50육아/건강/육아노하우

반응형

분유에 대하여 알아둡시다.


분유 얼마만큼 먹여야 되나?


분유를 먹이는 데 표준이란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

우리 아기가 곡 그렇게 먹어야 하는 것도 아닙니다.

분유는 월령에 따라 알맞은 양을 먹이는 것이 좋지만 기본적으로는 아기가 먹고 싶어하는 양만큼,

먹고 싶어하는 시간에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가 만 2개월이 지나면 위의 용량이 늘어나기 때문에 밤중에 먹는 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 시기가 되면 4~5시간 정도는 안 먹을 수 있으며, 3~4개월이 되면 밤에 울 때마다 먹이지 않고 재울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로 분유를 타면??





분유에는 열에 약한 영양소가 들어 있어서 뜨거운 물로 분유를 타면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쩌다 한 번 뜨거운 물에 분유를 탔다고 문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영양소는 우리 몸에 어느 정도 저장되어 있으므로 일부 영양소가 파괴된 분유를 먹는다고 해서

문제가 생기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당장 필요한 칼로리를 만드는 영양소는 열에 강합니다.

그러나 자주 뜨거운 물에 타서 먹이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저온살균 우유가 좋다고 그렇게 떠드는 것도 저온에서 갈균해야 변성이 적고 영양소고 파괴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분유를 미리 타두어도 좋을까요??


분유는 지방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이어서 상하기 쉽기 때문에 탄 즉시 바로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상온에서 1시간 이상 보관해서는 안됩니다.

하지만 피치 못할 사정이 있다면 미리 타서 냉장고에 넣어두었다가 먹일수도 있습니다.

제대로 멸균된 상태로 탄 분유는 48시간까지 냉장고에 보관할 수 있고,

먹일 때는 중탕으로 데워서 먹이십시오.

전자레인지를 사용해서 데우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아기의 입이 한 번이라도 닿았던 분유는 두었다 먹여서는 안되고 냉장고에 보관해서도 안됩니다.

액상 분유는 일단 개봉하면 냉장고에서 48시간 이상 보관하지 마시고,

분유 타려고 끓였던 물은 냉장고에서 48시간 정도 보관이 가능하고 상온에서는 수시간 정도밖에 보관할 수

없습니다. 분유를 미리 타둘 때는 우유병을 잘 소독하고, 충분히 끓였다가 식힌 물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리고 탈 때는 균이 들어가지 않도록 주의하고 타자마자 바로 우유병을 밀봉해야 합니다.

반응형